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춘화/버널리제이션(저온)에 대한 식물체의 감응부위 (향문사 재배학 vs 작물생리학)

작은 실험실/작물생리학

by 고래🐋 2021. 2. 4. 23:22

본문

(향문사 재배학원론 vs 향문사 작물생리학)

 

춘화(저온)에 대한 식물체의 감응부위

 


 

춘화,
버널리제이션이란?

 • 식물체가 생육의 일정한 시기에 저온을 경과함으로써 화성, 즉 꽃눈의 분화와 발육이 유도/촉진되는 현상(춘화)

 • 인위적인 저온을 주어서 화성을 유도/촉진하는 것 (춘화처리)

 즉, 정리하면 저온조건에서 식물의 감온상을 경과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.

 

저온을 겪어야만 봄에 꽃을 피우는 식물들이 있다.

 

 

춘화의 분류

 ① 처리온도에 따라 저온춘화/고온춘화

 ② 처리시기에 따라 종자춘화형/녹체춘화형 식물로 구분된다.

 

저온을 겪어야 꽃이피는 식물과 고온을 겪어야 꽃이피는 식물은 서로 개화시기가 다르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버널리제이션의 기구
저온 감응부위에 대한 재배학과 작물생리학에서의 차이

 

 1) 감응부위

▶ 재배학(p. 242)
저온처리의 감응부위는 생장점이다.

- 가을호밀 : 배를 따로 분리하여 처리해도 효과 O
- 밀 : 생장점 이외의 기관에서는 춘화효과 X

▶ 작물생리학 (p. 388~389)
저온에 감응하는 부위는 생장점”이라며 광주기(일장)의 감응부위(잎)와 대조된다는 것을 강조하며, 그 예로 Melchers(1937)가 연구한 사리풀과 Schwabe(1954)이 연구한 국화를 그 예로 제시한다.

 그러나 이와 대조되는 의견도 존재하는 듯 하다. 이어서 교재에는 이렇게 언급되어 있다.

생장점뿐만 아니라 식물체의 어느 부위든지 분열하고 있는 세포는 춘화처리 자극에 감응할 수 있다.” 면서 Wellensiek(1964)이 연구한 Lunaria biennis (루나리아, 겨자과의 한해살이풀)의 절단된 잎이나 뿌리 예로 들며, 춘화처리한 이 기관으로부터 재분화된 식물들도 개화한다고 한다.

 작물생리학에서 나오는 내용을 정리하자면,

• 생장점 부위가 감응하는 식물: 국화(Melchers), 사리풀(Schwabe)
• 생장점 이외에도 저온을 감응하는 식물 : Lunaria biennis (Wellensiek) 등

어찌되었든 생장점이 저온처리의 감응부위라는 것은 두 교재의 공통적인 사실이며, '생장점 이외의 부위가 자극에 감응하는 식물도 존재한다'라고 정리할 수 있을 것 같다.

 

 

 2) 감응의 전달 / 자극의 이동

▶ 재배학
(감응이 불이행적이라는 견해)
 : 생장점의 감응은 감응된 생장점 분열조직의 세포분열로 증식되는 세포에 감응이 전달된다고 생각 → 질적 변화설 / 원형질 변화설
• 가을밀에서 처리된 배의 종반분 + 비처리 종반분 접착
• 무(미농조생무)에서의 접목시험
(감응이 이해적이라는 견해)
• Melchers : 2년생 사리풀 - 저온처리한 식물의 가지 접목
• Cholodny : 호르몬설 주장 - 저온처리 시 블라스타닌 (blastanin)의 배유→배 이동, 집적

▶ 작물생리학
접목 실험에서 개화자극물질의 이동
- Melchers가 버널린(vernalin)이라고 명명.
- GA의 춘화에 대한 역할 : 어느 정도 일장이나 저온과 같은 환경신호를 대체하거나 개화유도에 필요한 체내 반응의 개시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.

 

 

 3) 농업적 이용

▶재배학
① 수량증대 - 벼
② 대파 - 가능은 하지만, 결과가 좋지 못함.
③ 촉성재배 - 딸기, 꽃
④ 채종 - 월동채소
⑤ 육종에의 이용 (연한단축) - 맥류, 사탕무
⑥ 종 또는 품종 감정 - 라이그래스류의 발아율에 따른 구분
⑦ 재배법 개선 - 추파성에 따른 조파와 만파
⑧ 온욕법은 버널리제이션이 아님

▶작물생리학
① 조기출하재배
② 채종재배 및 육종
③ 재배지역의 확대 및 대파

 

 


 

참고문헌
References

1. 삼고 재배학원론 (향문사, 2016, 2판 3쇄)

2. 삼고 작물생리학 (향문사, 2016, 3판 1쇄)

 

 

반응형

관련글 더보기

댓글 영역